이번 주 증시, 미중 무역협상·미국 물가지표가 ‘방향키’…CPI에 관세 효과 반영 주목

지난주 코스피, 무역협상 기대에 2570선 탈환

지난주 국내 증시는 미·중 간 무역협상이 재개될 것이라는 기대감 속에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.
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, 코스피 지수는 5월 7일부터 9일까지 사흘간 17.48포인트(0.68%) 오르며 2577.27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.

10일 미·중 고위급 회담 결과에 시장 촉각

이번 주 증시의 최대 변수는 10일(현지시간) 스위스 제네바에서 예정된 미·중 고위급 무역협상 결과가 될 것으로 보인다. 미국 측은 유아용품 등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를 고려 중이며, 중국 또한 일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를 시사한 상태다.

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선제적 관세 인하는 없다고 못 박은 만큼, 협상 결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신중론이 나온다.

미국 CPI, 관세 인상분 반영 여부 ‘관전 포인트’

13일 발표될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(CPI)가 이번 주 또 다른 주요 이벤트다. 4월부터 적용된 일괄·품목별 관세가 실제 물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다. 생산자물가지수(PPI)는 15일 발표될 예정이다.

시장 전문가들은 물가 흐름에 따라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감이 형성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.
인플레이션 둔화와 경기 모멘텀 약화가 명확해질 경우, 연준의 정책 전환 가능성에 힘이 실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.

국내는 추경 집행이 단기 모멘텀

국내 경제 측면에선 정부의 추가경정예산(추경) 집행 속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. 정부는 총 13조8000억 원 규모의 추경 중, 소상공인 지원 1.6조, 지역상권 활성화 1.4조, AI 혁신 1.8조원 등 약 12조 원 규모를 오는 7월까지 신속히 투입할 계획이다.

이번 주 주요 경제 이벤트 캘린더

■ 5월 13일 (월)

미국 4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

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(CPI)

미국 4월 근원 CPI

■ 5월 14일 (화)

한국 4월 실업률

■ 5월 15일 (수)

미국 4월 소매판매

미국 4월 생산자물가지수(PPI)

미국 4월 산업생산

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설

일본 4월 공작기계 수주

■ 5월 16일 (목)

미국 4월 주택착공건수

미국 4월 건축허가건수

미국 5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(예비치)

유럽연합 경제 전망 보고서

일본 1분기 GDP

경제 투데이 김선진

<Copyright ⓒ 경제 투데이. All rights reserved.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.>